Artist
안대현
An,daehyun
단국대학교 미술학 박사, 2015 개정교육과정 미술 교과서 심의위원,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수 역임
현) 한국미술협회 평택지부 회장
개인전_ 10회 (서울, 인사아트센타) 외 미국, 중국, 일본 전시
해외전 및 초대전_ 400여 회
아트페어_ 10여 회(MANIF11!서울국제아트페어 등)
수상_ 한류문화공헌 대상 ‘미술부분’(대한민국 국회), 용산국제미술대전
대상, 국회의장상 수상 등
작품소장_ 국립현대미술관, 중국 절강성 박물관 등
The Trace of Time
116.8×91, Oil on Canvas, 2023
본인의 작품은 선적인 요소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것은 복합적인 이미지와 규칙적인 ‘선’들로 표현되어 나타낸다.작품의 구성은 혼란된 바탕 위에 많은 ‘선’들이 규칙적인 형상을 이루고 있다. ‘선’의 이미지가 어떻게 수용되는가를 이 작품에서 보여주는 듯하다. 따라서 비정형의 이미지들을 통해 대상에 대한 인식을 구성과 추상적 요소로 표현하고 있다.
대부분이 화면의 구성에 있어 불확실한바탕을 먼저 구성하고 그 위에 이미지들을 배치하고자 한다. 이들은 주로 캔버스의 평면에 다양한 방법을 통해 나타나고 있다. 작품<The Trace of Time 06-ii>은 회화의 조형 요소를 사용함에 있어 구체적이거나 곡선적인 것을 피하고 직선을 사용하여 유동적인 느낌을 나타내고 있다. ‘선’ 요소를 도입한 것은 정형화된 규칙과 서로 얽히며 상반된 알수 없는 것에 대한 막연함이나 혼란스러움을 표현 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선’들을 표현함에 있어 가늘고 엉클어진 ‘선’과 굵은 ‘선’들이 직선으로 표현되기 한다. 규칙적인 ‘선’들은 일상의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소들을 지니고 있다. 그것은 구상과 추상이 대비되어 그 위에 규칙적인 ‘선’들 이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불규칙적인 화면의 효과를 주고 그 위에 분할된 이미지를 만들고 있다. 이런 방식은 카오스이론을 통하여 혼돈과 질서가 공존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질서 속에 미묘한 차이들에 의한 다름을 표현한 것이다. 이 작품은 화면의 효과를 사용하였는데 분할된 화면에 일상의 생각들을 조형 요소로서 표현 하였다. 이 분할된 이미지 들은 캔버스를 구겨서 편친 후 울퉁불퉁한 효과를 내고 위에 반복된 선으로 화면을 구성하였다. 캔버스 자체는 2차원이지만 그것을 접어 구겨진 느낌의 것으로 만들면 평면이 아닌 부조적 느낌을 갖게 된다. 평면 공간에서 입체의 효과를 보이게 하고 이미지들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서로 다른 공간 속에서 분할된 형상과 불규칙적인 형상의 구조로 제작하였다. 화면 위에 이미지들 은 뚜렷하지 않고 많은선들이 화면에 자라잡고 있다. 그림의 표면은 물감이 마르기전에 한 쪽 방향으로 닦아져 있거나 다른 색의 물감으로 덧칠한 것처럼 이미지들을 한 꺼풀 안으로 숨어 들어가 있다.
이 이미지들은 굵은 선으로 형성하고 기하학적인 형태를 띠고 있다. 작품 의 경우 화면에 나타난 이미지들은 문자와 숫자를 나열하여 쓴 것이다. 여기에 나타나는 문자들은 영자와 숫자들이다. 일상에 관련된 여러 가지 생각 기 억 등 일기를 쓰듯이 떠오르는 대로 이미지를 화면에 담았다. 그러나 글자고 어떤 것들은 비밀로 남아 있기도 하다.작품들은 주로 무채색의 바탕에 다양한 선과 원등의 기하학적 형상을 소재로 구성돼 있지만 내용과 형식에서 다소변화를 보이고 있다. 우선 화면에 구체적인 형상과 추상적인 형상이 함께 드러나기 때문이다. 그리고 화면은 단일한 공간구조에서 벗어나 물리적으로 여러 층이 공존하는 복층적인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변화는 작품의 주제와 의미를 규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대립적인 요소로 구분되었던 구상적 이미지와 추상적 이미지들을 한 화면에 구성하기도 하고, 과거의 사진을 작품의 요소로 등장하고 있다. 작품의 재료는 캔버스 천위에 아크릴 물감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골판지를 이용하여 거친 효과를 만들기도 하였는데 골판지 자체가 하나의 오브제가 되기도 한다. 또한 이전 추상표현주의 영향으로 붓질이 계속 나타나며 때로는 굵고 거칠게 빠르게 표현되기도 한다. 이 작품은 구겨진 종이 느낌을 바탕에 기초로 깔고 있다. 이러한 조형언어는 이 작품에 중요 한 요소로 구분 지을 수 있다.화면 위에 형상들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으며 많은 선들로 채워져 있다.
화면의 이미지들을 고정된 상태로 그리고자 한 것이 아니다. 화면 속에 흔적들은 각기 다른 형태를 취하고자 했는데 이런 흔적은 서로의 차이에 의해서 의미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작품은 여러 아크릴 물감층으로 이루어진 물리적 구조를 가진다. 그러한 다층 구조를 만들기 위해 물감이 건조되는데 필요한 물리적 시간과 반복 행위가 요구되며, 더불어 계획된 절차에 의해 물감조절과 통제가 수반된다. 작품의 제작과정에서 느낄 수 있듯이 시간의 흐름에 수능해야 하는 작업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캔버스에 나타난 모호한 형태는 한겹 한겹 쌓아올려 캔버스를 축적시킴으로써, 형태와 색채의 유연한 상호작용을 유도하고 있다.
– 본인 박사학위 논문에서 발취 함
In my work, linear elements are the mainstream. It is expressed through complex images and regular ‘lines’. As for the composition of the work, many ‘lines’ form a regular shape on a chaotic background.This work seems to show how the image of ‘line’ is accepted. Therefore, through atypical images,the perception of the object is expressed as composition and abstract elements. Most of them try to compose an uncertain background first in the composition of the screen and place images on it. These are mainly expressed through various methods on the plane of the canvas.
The work <The Trace of Time 06-ii> avoids concrete or curvilinear elements in using formative elements of painting, and expresses a fluid feeling by using straight lines. The introduction of the ‘line’ element seems to express vagueness or confusion about the unknown that is intertwined with the standardized rules and conflicting with each other. Also, in expressing the ‘lines’, thin and tangled ‘lines’ and thick ‘lines’ are expressed as straight lines.
The regular ‘lines’ have various elements that can express everyday images. It contrasts concrete and abstract, and regular ‘lines’ appear on it. I give the effect of an irregular screen like this and create a divided image on top of it. This method recognizes that chaos and order coexist through chaos theory, and expresses the difference by subtle differences in order. This work used the effect of the screen, expressing everyday thoughts as formative elements on the divided screen. These divided images created a bumpy effect after crumpling the canvas and composed the screen with repeated lines on top.
The canvas itself is two-dimensional, but when it is folded and crumpled, it gives a relief feeling rather than a flat surface. The three-dimensional effect was shown in a flat space, and the images were repeatedly used to create a structure of divided shapes and irregular shapes in different spaces. The images on the screen are not clear and many lines are growing on the screen. The surface of the painting is wiped in one direction before the paint dries, or the images are hidden in one layer, as if painted over with paint of a different color.
These images are formed by thick lines and have geometric shapes. In the case of the work, the images displayed on the screen are written by arranging letters and numbers. The characters that appear here are English letters and numbers. As if writing a diary, such as various thoughts and memories related to daily life, I captured images as they came to my mind on the screen. But letters and some things remain secret. The works are mainly composed of geometric shapes such as various lines and circles on an achromatic background, but show some changes in content and form.
First of all, it is because both concrete and abstract shapes are revealed on the screen. And the screen breaks away from a single spatial structure and has a multi-layered structure in which several layers physically coexist,and this change becomes an important factor in defining the theme and meaning of the work.
Figurative images and abstract images, which were divided into opposing elements, are sometimescomposed on one screen, and photographs of the past are appearing as elements of the work. The material for the work is acrylic paint on canvas.In addition, a rough effect was created using corrugated cardboard, and the corrugated cardboard itself becomes an objet. In addition, brush strokes continue to appear due t o the influence of the previous abstract expressionism, and sometimes they are expressed thickly and roughly.
This work is based on the feeling of crumpled paper. This formative language can be classified as an important element in this work. On the screen, the figures do not appear clearly and are filled with many lines. It is not intended to draw the images on the screen in a fixed state.The traces on the screen were intended to take different forms, and the meaning of these traces can be grasped by their differences.
This work has a physical structure composed of several layers of acrylic paint. In order to create such a multi-layered structure, physical time and repetitive actions required for paint to dry are required, along with paint control and control through planned procedures. As you can feel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work, i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that must be completed in the flow of time. Therefore, the ambiguous forms on the canvas are piled up layer by layer to accumulate the canvas, inducing a flexible interaction between form and color.
- Excerpted from my doctoral disser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