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st
김연규
Kim yeonkyu
Botanical Subject-1940
72.7×91, Acrylic on Canvas, 2019
무한의 절대적 자연 이미지를 빌려 사유적 기억의 생성과 생성과 생성과 소멸을 바탕으로 여린 회색 톤의 무르익음과 침묵의 고요함을 이야기하고 싶었다. 자연과 공존하는 삶의 이미지 변화 속에 내 자신의 내면을 보고자 이미지들이 생성하고 소멸시킨다. 이미지들이 상징하는 물질과 정신은 독자적인 조형언어로써 교감의 소통으로 반복되어간다.자연의 순리 속에서 시시각각 변화하고 교차되며 새롭게 생성되듯이 우리들의 시간과 관계 그리고 감정들을 자연 속의 또 다른 다중적 시간들 속에서 영원하기를 기원하며 만들어진다. 명료한 기억으로 인해 가리워진 또 다른 흔적들, 다층적이고 뚜렷한 자연 현상을 통해 드러나는 색과 이미지들은 더욱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가시적이며, 퇴적된 기억과 투영된 아련한 잔상(殘像 )들은 침상(沈相 )으로서 남아있길 원하며, 표현되어 화면에 머무르게 된다. 기술적인 표현, 구체적인 설명하지 않으며 자유로운 이미지와 단순한 표현을 통해 기억의 직관과 감성을 목가적으로 그려내고 싶었다 .
Borrowing the image of infinite, absolute nature, I wanted to talk about the ripeness of soft gray tones
and the stillness of silence based on the creation, generation, creation, and extinction of private memories. I create and destroy images to see my own inner self in the changing images of life coexisting with nature. The material and spirit symbolized by the images are repeated through communicative communication as an independent formative language.Just as nature changes, intersects, and creates new things from time to time, it is created with the hope that our time, relationships, and emotions will last forever in other multiple times in nature. Other traces obscured by clear memories, colors and images revealed through multi-layered and distinct natural phenomena become more visible with the passage of time, and the accumulated memories and
faint afterimages projected want to remain as a bed, expressing and stays on the screen. I wanted to
depict the intuition and emotion of memory in an idyllic way through free images and simple expressions, without technical expressions or specific explanations.